바다이야기 시즌7 ≥ 66.rye579.top ≥ 바다이야기 사이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하이규오 작성일25-08-01 03:22 조회4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2.rmx342.top 22회 연결
-
http://0.rse392.top 22회 연결
본문
【22.rye579.top】
▲ 안석봉·이상희씨 부부의 과수원은 자두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나무에 이파리만 무성했다.
ⓒ 월간 옥이네
새콤달콤한 맛으로 무더운 여름철 입맛을 사로잡는 자두. 이르면 6월 초부터 10월까지 맛볼 수 있는 대표적인 여름 과일이다. 대석·홍로센·후무사·추희 등 다양한 종류의 롯데캐피탈 신용카드대출 자두는 열매 맺는 시기가 달라 한 번씩 맛보다 보면 어느새 여름이 훌쩍 지나간다.
많은 이에게 여름의 맛을 전하는 자두이지만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은 험난하다. '기후재난'으로 매년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폭염으로 인한 병해충 문제는 물론이고 길고 습한 장마까지 더해져 지난해엔 수확량이 70%가량 줄었다. 어려움 공학계산 의 연속이지만 그 속에서도 살아남은 자두에 감사하며 수확을 마친 지난해다.
그런데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3월 동해로 꽃이 죽으면서 열매가 맺히지 않는 것. 충북 옥천군 청산면 인정리에서 자두 농사를 하는 안석봉(72)·이상희(72)씨 부부는 "먹거리를 위해 15년 동안 땀 흘렸지만 이런 적은 처음"이라고 말한다. 출하를 앞두고 한창 바빠 주택청약 순위 야 할 시기, 빈 가지를 보며 막막함을 토로하는 두 사람이다.
6월 10일 안석봉·이상희 씨 부부를 찾았다. 부부의 과수원은 자두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나무에 이파리만 무성했다. 농민에게, 자두나무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두 사람에게 들어봤다.
성실함으로 알린 자두의 맛
자녀들의 교육을 위 아파트소유 해 서울로 떠난 두 사람은 24년 전 안석봉씨의 고향인 청산면 인정리로 돌아왔다. 당시 나이 48세. 젊은 나이에 더해, 서울로 가기 전까지의 경험을 살려 함께 농사를 시작했다. 자두 농사를 시작한 건 그로부터 9년 뒤. 과수 농사를 고민하던 부부는 포도·복숭아처럼 종이 포장 작업이 필요 없는 자두를 선택했다. 과수 농사를 하는 농민에게 조언을 받아 천 평 신용불량자대출가능한곳 남짓한 땅에 자두나무 200주를 심었다.
"대석·홍로센·후무사·추희 네 가지 품종을 50주씩 심었어요. 출하 시기를 고려해 네 가지를 심었죠. 자두가 비에 약해요. 수확 시기에 장마가 오면 물러서 터질 위험이 커요. 열매 맺는 시기가 서로 다른 품종을 심어서 혹시 모를 피해를 줄이는 거죠." (안석봉씨)
▲ 2024년 6월 20일 수확 당시 모습 (사진제공 : 이상희씨)
ⓒ 월간 옥이네
6월 말 대석으로 시작해 홍로센(7월 말), 후무사(8월 말), 추희(9월 말) 순으로 수확한다. 추석이 지나면 1년 농사가 마무리되는데, 쉴 틈 없이 곧바로 다음 해 농사 준비에 돌입한다.
"10월 말부터 거름을 주고 꽃 피는 3월까지 전지(가지치기)를 해요. 그리고 3월 초가 되면 제초와 병충해 예방을 위해 소독하죠." (안석봉씨)
휴식 없는 농사지만 탐스럽게 잘 자라는 자두 덕분에 즐겁게 일할 수 있었다. 새순이 오르고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가지에서 활짝 핀 꽃이 열매가 되기까지, 활기 넘치는 나무를 보고 있으면 없던 힘도 생기곤 했다.
"자두(농사)가 가장 잘 된 시기가 나무 심고 4년 됐을 때였는데, 그때만 해도 날씨가 지금 같지 않았어요. 장마나 태풍 소식에 긴장은 했지만 생산량이 절반으로 줄거나 하는 극심한 피해는 없었어요. 우리만 잘하면 맛있는 자두가 자라니까 정말 신나게 일했죠." (이상희씨)
영농일지에 매일 자두나무 상태를 기록하던 두 사람. 그 모습을 본 딸이 블로그에 내용을 올리면 어떻겠냐 제안했고, 자연스레 온라인 판매로 이어졌다. 전국 곳곳으로 두 사람의 자두가 퍼져나갔다. 없어서 못 팔 정도였던 자두가 줄기 시작한 것은 2023년부터. 후무사자두 수확을 앞두고 시작된 장마는 판매 불가 소식을 전할 만큼의 피해로 이어졌다. 그때만 해도 하늘의 뜻이겠거니 생각했지만 피해는 점점 더 커졌다.
사라진 수확의 즐거움
▲ "15년 가까이 자두 농사를 했지만 열매가 안 맺힌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 월간 옥이네
"지금쯤이면 가지가 휠 정도로 열매가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아무것도 없으니 어쩌면 좋아요." (이상희씨)
예년 같으면 수확할 준비로 바쁠 손들이 텅 빈 가지에 멈췄다. 지난 11월부터 준비해온 농사였건만 예상치 못한 상황에 두 사람은 망연자실이다.
"3월에 과수원 가득 만개한 꽃을 보며 올해 농사 잘되겠다고 기뻐했죠. 그런데 3월 말에 영하로 떨어지더니 4월엔 눈까지 와서 동해를 입었어요. 꽃이 다 죽은 거죠." (안석봉씨)
지난 3월 22~27일 낮 최고 기온은 26도로 봄철 고온현상이 이어지더니, 3월 28일부터 시작된 비에 기온은 -4도까지 뚝 떨어졌다. 4월 중반에는 3~7mm의 눈이 내리기도 했다. 때아닌 더위와 추위가 번갈아 오면서 그 피해는 착과 불량 문제로 이어졌다. 6월이면 90% 이상의 착과율을 보여야 하지만 나무엔 그 수를 셀 수 있을 정도로 드물게 열매가 맺혔다. 그마저도 병충해로 폐기해야 하는 상황. 이상희씨는 올해 착과율이 0%와 다름없다고 말한다.
"5kg 상자 기준으로 적게는 1000개, 많게는 1500개까지 나와요. 원래라면 다음 주부터 수확을 시작해야 하는데 자두가 하나도 없어요. 그나마 작게 맺힌 것도 얼마나 클지 모르겠고... 올해는 자두를 못 팔 것 같아요." (이상희씨)
급변하는 날씨에 따른 피해는 최근 몇 년 사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첫 수확을 앞두고 시작된 장마와 이어지는 태풍으로 자두가 무르고 낙과해 70% 이상 폐기했다. 온라인으로 받은 선주문 건은 전부 환불 조치해야만 했다.
"농사는 늘 어렵지만 비 피해가 컸던 지난해 제일 힘들었어요. 올해는 좀 나을 줄 알았는데 더 심할 줄이야... 15년 가까이 자두 농사를 했지만 열매가 안 맺힌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이상희씨)
이상저온으로 피해 입은 농가가 늘어나면서 지난 5월 충북 옥천군농업기술센터 기술지원과는 표본조사에 나섰다. 6개 면 지역(군서·동이·이원·안내·청산·청성) 조사 결과 자두나무 착과율은 50%로 나타났고 청성·청산면은 20%까지 떨어지면서 피해를 가장 심하게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평년이라면 착과율 90% 이상을 보여야 하지만 과수원 열매 찾기가 심각하게 어려워진 셈이다.
수확할 자두가 없어 생계가 막막한 부부는 앙상해져 가는 나무 상태도 걱정이다. 3년째 이어지는 냉해와 긴 장마, 폭염이 겹치면서 나무가 버티지 못하고 있는 것. 열매는 물론 나뭇잎마저 자라지 못하는 나무를 보고 있으면 농사를 포기해야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병해충으로 남은 열매도 폐기해야 하고 이파리도 구멍이 숭숭 뚫려 상태가 안 좋아요. 지난해에는 농작물재해보험으로 일부 보상을 받았지만 충분하지 않았죠. 인력, 자재, 소독약 값은 날로 오르고 상황은 더 안 좋아지는데 도움받을 수 있는 곳이 없어요. 부족하지만 보험이라도 있는 게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안석봉씨)
그럼에도 포기할 수 없는 농사
▲ 안석봉·이상희씨 부부
ⓒ 월간 옥이네
과수원을 둘러보던 이상희씨가 나지막이 말한다.
"먹거리가 최고라더니만 이제 먹거리가 제일 힘든 것 같아요."
흘린 땀만큼 정직하게 자란 자두에 자부심을 느끼며 농사해왔건만 해가 지날수록 기후재난도, 몸도 말썽이다. 한숨 푹푹 나오는, 좋을 것 하나 없는 상황에서도 두 사람은 쉽게 농사를 포기할 수도 없다.
"노후 대책도 해야 하고 빚도 갚아야 하니까... 요즘은 어떻게 먹고 살 건가 그 걱정뿐이에요. 농사가 안된다고 땅을 놀릴 수도 없으니 어떻게든 하는 거예요." (안석봉씨)
두 사람은 열매 없는 나무에 관수를 중단했다. 농사가 잘될 줄 알았던 3월 미리 준비한 관수 시설이지만 관리 비용이라도 줄여보고자 결정한 일이다. 안석봉씨는 농사의 즐거움을 잃어갈 때마다 옛 생각이 난다고 했다.
"사람도 많고 장도 크게 열리던 청산이에요. 땅이 좋아 청산에서 나는 건 맛이 좋다고 다른 지역에서도 사 가곤 했죠. 물건이 없어서 못 팔 정도였는데, 이제는 농사하는 것도 파는 것도 어려우니 즐거움을 느낄 새가 없네요. 사람이 늘어나면 조금 나아질까요? 농민들이 즐겁게 일 할 수 있도록 많은 이가 농촌에 관심 가져주면 좋겠어요."
옥천군농업기술센터 "조사 마무리되는 대로 복구계획 수립"
옥천군농업기술센터는 6월부터 과수 피해 현황을 조사 중이다. 충청북도와 현장을 교차로 검증해 이상기후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옥천군농업기술센터 농업정책과 김동진 주무관은 "호우 피해까지 조사하면 3개월가량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피해 현황에 따른 복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옥천청정자두연합회 홍완표 회장은 "계속되는 피해에 농가 사정이 너무 어렵다. 이런 상황이라면 추희 농사는 접고 조생종으로 품종갱신이 필요한데 묘목을 심는 것도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지금 농가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이상기후 대응 설비 지원을 꼽았다.
옥천군의 피해조사에 따른 복구 계획에 대해서는 "500여 개가 넘는 포도, 복숭아 농가에 비해 자두 농가는 60여 개밖에 되지 않아 과수 피해가 있을 때마다 보상책을 찾기도 어렵다"며 "자두 농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월간옥이네 통권 97호(2025년 7월호)글·사진 김혜리
▶이 기사가 실린 월간 옥이네 구입하기(https://smartstore.naver.com/monthlyoki)
▲ "요즘은 어떻게 먹고 살 건가 그 걱정뿐이에요. 농사가 안된다고 땅을 놀릴 수도 없으니 어떻게든 하는 거예요."
ⓒ 월간 옥이네
백경게임공략방법 ≥ 73.rye579.top ≥ 오션파라다이스동영상
골드몽먹튀 ≥ 26.rye579.top ≥ 황금성 제주도
바다신2게임 ≥ 33.rye579.top ≥ 사이다쿨
신천지다운로드 ≥ 61.rye579.top ≥ 무료충전 릴 게임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릴예시게임 슬롯 머신 html 릴게임 공략법 야마토게임다운 백경게임랜드 온라인릴게임사이트 야마토5게임방법 릴게임 무료충전게임 오션파라 다이스예시 게임몰 야마토게임장 잭팟게임 슬롯머신 777 황금성3하는곳 호게임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릴게임오션 빠칭코 슬롯머신 황금성오락실 슬롯 검증사이트 게임황금성 릴게임먹튀검증 방법 오징어 릴게임 777 무료 슬롯 머신 우주전함 야마토게임 야마토게임 다운로드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윈윈 파친코게임 100원바다이야기 릴게임알라딘주소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온라인바다이야기 최신바다게임 오리 지날야마토2게임 온라인백경게임 슬롯 게임사 추천 온라인야마토주소 릴게임다빈치 프라그마틱 슬롯 팁 없습니다. 오리지날야마토연타예시 바다이야기부활 무료슬롯사이트 사이다 릴게임 황금성게임사이트 황금성다운로드 온라인 손오공 릴게임 릴게임사이다 온라인백경 온라인 릴게임 사이트 무료신천지게임 슬롯 릴 게임 오락실게임 파라다이스 황금성연타 황금성갈가리 카지노 슬롯머신 잭팟 Pg 소프트 무료 체험 바다이야기게임하는방법 온라인릴게임 먹튀 검증 안전 슬롯사이트 카카오 야마토 먹튀 황금성게임사이트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황금성 슬롯 검증완료릴게임 황금성 릴게임 sp야마토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바다이야기 무료체험 핸드폰바다이야기 중고게임기매매 무료 야마토게임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슬롯게임 무료 무료 야마토 게임 릴게임골드몽 우주전함야마토먹튀 체리 마스터 pc 용 신천지게임하는곳 모바일야마토5게임 파친코 바다이야기 노무현 슬롯추천 게임몰 황금성3게임연타 알라딘게임예시 릴게임정글북 파라 다이스 오션 손오공게임온라인 현금게임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해저이야기사이트 럭키세븐 바다이야기 조작 무료카지노게임 한게임머니파는곳 바다이야기 꽁머니 환전 황금성동영상 손오공바다이야기 우주전함야마토먹튀 신천지사이트 오락실황금성 황금성온라인 슬롯머신 영어로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다빈치 릴게임 먹튀 야마토5게임 기 야마토2다운로드 릴게임예시 온라인예시게임 모바일 야마토 무료슬롯 황금성3게임연타 바다이야기게임기 유희왕황금성 바다이야기 하는 법 사이다쿨게임 바다이야기 게임 방법 릴게임추천사이트 릴게임사이트 야마토5게임 야마토5게임방법 카카오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공략법 오션슬롯 먹튀 [월간 옥이네]▲ 안석봉·이상희씨 부부의 과수원은 자두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나무에 이파리만 무성했다.
ⓒ 월간 옥이네
새콤달콤한 맛으로 무더운 여름철 입맛을 사로잡는 자두. 이르면 6월 초부터 10월까지 맛볼 수 있는 대표적인 여름 과일이다. 대석·홍로센·후무사·추희 등 다양한 종류의 롯데캐피탈 신용카드대출 자두는 열매 맺는 시기가 달라 한 번씩 맛보다 보면 어느새 여름이 훌쩍 지나간다.
많은 이에게 여름의 맛을 전하는 자두이지만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은 험난하다. '기후재난'으로 매년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폭염으로 인한 병해충 문제는 물론이고 길고 습한 장마까지 더해져 지난해엔 수확량이 70%가량 줄었다. 어려움 공학계산 의 연속이지만 그 속에서도 살아남은 자두에 감사하며 수확을 마친 지난해다.
그런데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3월 동해로 꽃이 죽으면서 열매가 맺히지 않는 것. 충북 옥천군 청산면 인정리에서 자두 농사를 하는 안석봉(72)·이상희(72)씨 부부는 "먹거리를 위해 15년 동안 땀 흘렸지만 이런 적은 처음"이라고 말한다. 출하를 앞두고 한창 바빠 주택청약 순위 야 할 시기, 빈 가지를 보며 막막함을 토로하는 두 사람이다.
6월 10일 안석봉·이상희 씨 부부를 찾았다. 부부의 과수원은 자두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나무에 이파리만 무성했다. 농민에게, 자두나무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두 사람에게 들어봤다.
성실함으로 알린 자두의 맛
자녀들의 교육을 위 아파트소유 해 서울로 떠난 두 사람은 24년 전 안석봉씨의 고향인 청산면 인정리로 돌아왔다. 당시 나이 48세. 젊은 나이에 더해, 서울로 가기 전까지의 경험을 살려 함께 농사를 시작했다. 자두 농사를 시작한 건 그로부터 9년 뒤. 과수 농사를 고민하던 부부는 포도·복숭아처럼 종이 포장 작업이 필요 없는 자두를 선택했다. 과수 농사를 하는 농민에게 조언을 받아 천 평 신용불량자대출가능한곳 남짓한 땅에 자두나무 200주를 심었다.
"대석·홍로센·후무사·추희 네 가지 품종을 50주씩 심었어요. 출하 시기를 고려해 네 가지를 심었죠. 자두가 비에 약해요. 수확 시기에 장마가 오면 물러서 터질 위험이 커요. 열매 맺는 시기가 서로 다른 품종을 심어서 혹시 모를 피해를 줄이는 거죠." (안석봉씨)
▲ 2024년 6월 20일 수확 당시 모습 (사진제공 : 이상희씨)
ⓒ 월간 옥이네
6월 말 대석으로 시작해 홍로센(7월 말), 후무사(8월 말), 추희(9월 말) 순으로 수확한다. 추석이 지나면 1년 농사가 마무리되는데, 쉴 틈 없이 곧바로 다음 해 농사 준비에 돌입한다.
"10월 말부터 거름을 주고 꽃 피는 3월까지 전지(가지치기)를 해요. 그리고 3월 초가 되면 제초와 병충해 예방을 위해 소독하죠." (안석봉씨)
휴식 없는 농사지만 탐스럽게 잘 자라는 자두 덕분에 즐겁게 일할 수 있었다. 새순이 오르고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가지에서 활짝 핀 꽃이 열매가 되기까지, 활기 넘치는 나무를 보고 있으면 없던 힘도 생기곤 했다.
"자두(농사)가 가장 잘 된 시기가 나무 심고 4년 됐을 때였는데, 그때만 해도 날씨가 지금 같지 않았어요. 장마나 태풍 소식에 긴장은 했지만 생산량이 절반으로 줄거나 하는 극심한 피해는 없었어요. 우리만 잘하면 맛있는 자두가 자라니까 정말 신나게 일했죠." (이상희씨)
영농일지에 매일 자두나무 상태를 기록하던 두 사람. 그 모습을 본 딸이 블로그에 내용을 올리면 어떻겠냐 제안했고, 자연스레 온라인 판매로 이어졌다. 전국 곳곳으로 두 사람의 자두가 퍼져나갔다. 없어서 못 팔 정도였던 자두가 줄기 시작한 것은 2023년부터. 후무사자두 수확을 앞두고 시작된 장마는 판매 불가 소식을 전할 만큼의 피해로 이어졌다. 그때만 해도 하늘의 뜻이겠거니 생각했지만 피해는 점점 더 커졌다.
사라진 수확의 즐거움
▲ "15년 가까이 자두 농사를 했지만 열매가 안 맺힌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 월간 옥이네
"지금쯤이면 가지가 휠 정도로 열매가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아무것도 없으니 어쩌면 좋아요." (이상희씨)
예년 같으면 수확할 준비로 바쁠 손들이 텅 빈 가지에 멈췄다. 지난 11월부터 준비해온 농사였건만 예상치 못한 상황에 두 사람은 망연자실이다.
"3월에 과수원 가득 만개한 꽃을 보며 올해 농사 잘되겠다고 기뻐했죠. 그런데 3월 말에 영하로 떨어지더니 4월엔 눈까지 와서 동해를 입었어요. 꽃이 다 죽은 거죠." (안석봉씨)
지난 3월 22~27일 낮 최고 기온은 26도로 봄철 고온현상이 이어지더니, 3월 28일부터 시작된 비에 기온은 -4도까지 뚝 떨어졌다. 4월 중반에는 3~7mm의 눈이 내리기도 했다. 때아닌 더위와 추위가 번갈아 오면서 그 피해는 착과 불량 문제로 이어졌다. 6월이면 90% 이상의 착과율을 보여야 하지만 나무엔 그 수를 셀 수 있을 정도로 드물게 열매가 맺혔다. 그마저도 병충해로 폐기해야 하는 상황. 이상희씨는 올해 착과율이 0%와 다름없다고 말한다.
"5kg 상자 기준으로 적게는 1000개, 많게는 1500개까지 나와요. 원래라면 다음 주부터 수확을 시작해야 하는데 자두가 하나도 없어요. 그나마 작게 맺힌 것도 얼마나 클지 모르겠고... 올해는 자두를 못 팔 것 같아요." (이상희씨)
급변하는 날씨에 따른 피해는 최근 몇 년 사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첫 수확을 앞두고 시작된 장마와 이어지는 태풍으로 자두가 무르고 낙과해 70% 이상 폐기했다. 온라인으로 받은 선주문 건은 전부 환불 조치해야만 했다.
"농사는 늘 어렵지만 비 피해가 컸던 지난해 제일 힘들었어요. 올해는 좀 나을 줄 알았는데 더 심할 줄이야... 15년 가까이 자두 농사를 했지만 열매가 안 맺힌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이상희씨)
이상저온으로 피해 입은 농가가 늘어나면서 지난 5월 충북 옥천군농업기술센터 기술지원과는 표본조사에 나섰다. 6개 면 지역(군서·동이·이원·안내·청산·청성) 조사 결과 자두나무 착과율은 50%로 나타났고 청성·청산면은 20%까지 떨어지면서 피해를 가장 심하게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평년이라면 착과율 90% 이상을 보여야 하지만 과수원 열매 찾기가 심각하게 어려워진 셈이다.
수확할 자두가 없어 생계가 막막한 부부는 앙상해져 가는 나무 상태도 걱정이다. 3년째 이어지는 냉해와 긴 장마, 폭염이 겹치면서 나무가 버티지 못하고 있는 것. 열매는 물론 나뭇잎마저 자라지 못하는 나무를 보고 있으면 농사를 포기해야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병해충으로 남은 열매도 폐기해야 하고 이파리도 구멍이 숭숭 뚫려 상태가 안 좋아요. 지난해에는 농작물재해보험으로 일부 보상을 받았지만 충분하지 않았죠. 인력, 자재, 소독약 값은 날로 오르고 상황은 더 안 좋아지는데 도움받을 수 있는 곳이 없어요. 부족하지만 보험이라도 있는 게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안석봉씨)
그럼에도 포기할 수 없는 농사
▲ 안석봉·이상희씨 부부
ⓒ 월간 옥이네
과수원을 둘러보던 이상희씨가 나지막이 말한다.
"먹거리가 최고라더니만 이제 먹거리가 제일 힘든 것 같아요."
흘린 땀만큼 정직하게 자란 자두에 자부심을 느끼며 농사해왔건만 해가 지날수록 기후재난도, 몸도 말썽이다. 한숨 푹푹 나오는, 좋을 것 하나 없는 상황에서도 두 사람은 쉽게 농사를 포기할 수도 없다.
"노후 대책도 해야 하고 빚도 갚아야 하니까... 요즘은 어떻게 먹고 살 건가 그 걱정뿐이에요. 농사가 안된다고 땅을 놀릴 수도 없으니 어떻게든 하는 거예요." (안석봉씨)
두 사람은 열매 없는 나무에 관수를 중단했다. 농사가 잘될 줄 알았던 3월 미리 준비한 관수 시설이지만 관리 비용이라도 줄여보고자 결정한 일이다. 안석봉씨는 농사의 즐거움을 잃어갈 때마다 옛 생각이 난다고 했다.
"사람도 많고 장도 크게 열리던 청산이에요. 땅이 좋아 청산에서 나는 건 맛이 좋다고 다른 지역에서도 사 가곤 했죠. 물건이 없어서 못 팔 정도였는데, 이제는 농사하는 것도 파는 것도 어려우니 즐거움을 느낄 새가 없네요. 사람이 늘어나면 조금 나아질까요? 농민들이 즐겁게 일 할 수 있도록 많은 이가 농촌에 관심 가져주면 좋겠어요."
옥천군농업기술센터 "조사 마무리되는 대로 복구계획 수립"
옥천군농업기술센터는 6월부터 과수 피해 현황을 조사 중이다. 충청북도와 현장을 교차로 검증해 이상기후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옥천군농업기술센터 농업정책과 김동진 주무관은 "호우 피해까지 조사하면 3개월가량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피해 현황에 따른 복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옥천청정자두연합회 홍완표 회장은 "계속되는 피해에 농가 사정이 너무 어렵다. 이런 상황이라면 추희 농사는 접고 조생종으로 품종갱신이 필요한데 묘목을 심는 것도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지금 농가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이상기후 대응 설비 지원을 꼽았다.
옥천군의 피해조사에 따른 복구 계획에 대해서는 "500여 개가 넘는 포도, 복숭아 농가에 비해 자두 농가는 60여 개밖에 되지 않아 과수 피해가 있을 때마다 보상책을 찾기도 어렵다"며 "자두 농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월간옥이네 통권 97호(2025년 7월호)글·사진 김혜리
▶이 기사가 실린 월간 옥이네 구입하기(https://smartstore.naver.com/monthlyoki)
▲ "요즘은 어떻게 먹고 살 건가 그 걱정뿐이에요. 농사가 안된다고 땅을 놀릴 수도 없으니 어떻게든 하는 거예요."
ⓒ 월간 옥이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